목록비전 업무 지식/전자 전기 (2)
노주현 개인 블로그

전기가 만들어지는 과정 1. 코일이 필요하다. 2. 자기장의 변화가 필요하다. 3. 회전을 이용하여 자기장의 변화를 일으킨다. 단상이란? 코일 1개 + 자석 1개 구성 (1개의 도체)을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. 3상이란? 세 개의 도체를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. 각 기전력의 위상차이는 120도씩 차이가 발생한다. 각 상을 구별하기 위해 R, S, T로 이름 붙여 나타낸다. 전력 효율이 높아서 산업용이나 공업용으로 많이 사용 된다. 3상 4선식 조합 1. R(갈), S(흑), T(회), N(청) 의 조합 2. N (중성선) 은 R, S, T 의 3상 모두에 대하여 중성을 띄는 선으로 Neutral 의 약자이다. 3. R과 S, S와T, T와 R 조합으로 380V 전압이 발생하며, 모터 등의 큰 부하에 사용 된..

오픈컬렉터(Open Collector) 집적회로(IC, Intergrated Circuit)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유형의 출력으로 스위치처럼 동작한다. 포터커플러/옵토커플러 (Photocoupler/Optocoupler) 개요 포토커플러는 광결합기[Photocoupler], 옵토커플러[Optocoupler], 광절연체[Opto-isolator] 트랜지스터 스위치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. 내부에 빛을 사용하여 두 개의 절연된 회로 간에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부품이다. 옵토커플러는 오픈컬렉터 형식의 신호 발생체를 말한다. 한국에서는 포토커플러, 해외에서는 옵토커플러로 더 많이 불린다. 이 소자는 빛으로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기에 내부에 있는 LED를 Turn On 할 수 있을 정도의 전압과 전류만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