노주현 개인 블로그
CPU 스케쥴링 (Scheduling) - Round-Robin 방식을 알아보면서.. 본문
라운드 로빈 스케쥴링 (Round Robin Scheduling, RR)
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선점형 스케쥴링의 하나로서 프로세스들 사이에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,
순서대로 시간 단위로 CPU 를 할당하는 방식의 CPU 스케쥴링 알고리즘이다.
또 다른 설명으로
컴퓨터 리소스를 프로세스 들에게 공정하게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,
각 프로세스에 일정 시간을 할당하고 할당된 시간이 지나면 그 프로세스는 잠시 보류하여
다른 프로세스에게 기회를 주고, 또 다른 프로세스에게 반복하는 방식
보통 시간 단위 10~100ms 정도로 할당 되며, 시간 단위동안 수행한 프로세스는 준비 큐의 끝으로 밀려나게 되고
문맥 전환의 오버헤드가 큰 반면에 응답시간이 짧아지는 장점이 있어 실시간 시스템에 유리 하다.
CPU 스케쥴링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면...
1) 스케쥴링이란?
프로세스 스케쥴링 : CPU 를 사용하려고 하는 프로세스들 사이의 우선 순위를 관리
디스크 스케쥴링 : 디스크를 사용하려고 하는 프로세스들 사이의 우선 순위를 관리
스케쥴링은 처리율과 CPU 이용률을 증가시키고, 오버헤드/응답시간/변환시간/대기시간을 최소화 시키기 위한 기법
CPU가 쉬지않고 계속 일할 수 있도록 계획을 잡아주는 것이 스케쥴링
2) 스케쥴링 방식 - 2가지 구분
비선점형 스케쥴링 : 할당 된 CPU 를 다른 프로세스에서 강제로 빼앗아 가져올 수 없는 스케쥴링
일괄 처리 시스템에 적합하고 처리율이 떨어질 수 있다
종류 : FIFO, SJF(Shortest Remaining time First Scheduling), HRN(Highest Response-ratio Next)
에이징 기법 (Aging) : 프로세스가 자원을 기다리고 있는 시간에 비례하여 우선순위를
부여함으로서 무한 연기를 방지
선점형 스케쥴링 : 우선 순위가 높은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의 CPU 를 강제로 가져올 수 있는 기법
모든 프로세스에게 CPU 사용 시간을 동일하게 부여하고 빠른 응답시간을 요하는 시분할 시스템에 적합
종류: SRT(Shortest Remaining Time), RR(Round Robin), MQ(Multi-level Queue)
'비전 업무 지식 > 컴퓨터 + 통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더캣 (EtherCat) (0) | 2022.01.07 |
---|---|
RTOS (Real Time OS) (0) | 2022.01.07 |
네트워크 계층 구조 (0) | 2022.01.01 |